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뱃돈 적정금액 세뱃돈새지폐

by bm보감 2023. 1. 21.

세뱃돈 적정금액 세뱃돈새지폐

 

안녕하세요 내일이면 어릴 때 기다리고 기다리던 설날이 오는데요 어릴 때는 세뱃돈을 받았지만 이제는 줄 나이가 되었네요 받을 때는 몰랐지만 이제는 설날 친척집에 가거나 친척들이 오면 주머니 털릴 각오를 해야 하는데요 바로 세배를 받기 때문입니다 세배란 어르신이 무사히 한해를 넘기로 새해를 맞았기 때문에 기념하여 문안을 드리는 것인데요 대부분 혼인하여 자녀가 있는 어른들이 세배를 받는 경우가 많았고 자녀가 없더라고 어느 정도 연배가 되면 세배를 했다고 합니다 가족뿐 아니라 이웃어른들에게도 인사를 올렸다고 하는데요 세배를 받고 빈손으로 보내면 예의가 아닌 것 같아 조금씩 손에 쥐어준 것이 세뱃돈의 기원이라고 합니다

지폐
지폐

2009년 5만 원권 고액지폐가 나오면서 5의 배수단위로 액수를 정하는 경향이 생긴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세기 전에는 과일이나 떡 등의 음식을 주로 받았지만 1960년 중반부터 설날이면 돈을 줬다고 하는데요 보통 1원에서 10원까지 줬다고 합니다 그 당시 1원이면 지금 천 원 정도 되는 금액이라고 합니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몇만 원 수준이었는데 요즘은 물가가 상승해서 그런지 만 원 한 장으로는 좀 부족한 느낌인데요 세뱃돈 얼마나 줘야 할지 고민이신 분들을 위해 온라인의 여론을 종합해 적정금액을 적어보기로 했습니다

미취학아동 1만원~5만원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2만원~10만원
대학생 5만원~ 20만원

이정도선으로 여론이 뜨겁습니다 보통 어린아이들만 있다면 부담이 덜 하겠지만 친척들이 모이면 세뱃돈을 줘야 할 아이들이 1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 까지도 늘어날 수도 있으니 그 부담이 어마어마할 것 같습니다

지난 12월 28일부터 1월 4일까지 남녀 6,000여 명을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 조사한 결과 가장 적당한 금액으로는 5만 원 권이 43% 로 나왔다고 합니다 하지만 세뱃돈을 받는 비중이 높은 20대의 경우는 25% 가 10만 원이 적당하다고 답변했다고 합니다 2020년 비슷한 설문조사 기관에서 설문했을 때는 성인 43%가 세뱃돈으로 만원이 적당하다고 대답했다고 하는데 급등하는 물가로 인해 세뱃돈도 많이 오른 것 같습니다

휴게소 신권교환

또한 은행이 공휴일이라 닫아버려서 새 지폐로 못 바꾸신 분들은 21일 여주휴게소 영동고속도로 강릉방향서 신권교환을 한다고 합니다 

우리은행은 21일 여주휴게소에서 이동점포를 통한 신권교환행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운영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신권교환과 ATM을 이용한 입출금거래와 계좌이체등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NH농협은 전날성남유통센터와 중부고속도로 하남드림휴게소 하행선에서 이동점포를 운영했다고 하는데요 내일은 우리은행이 이동점포를 운영한다고 하니 고향에 가시는 분들 중 여주휴게소를 거치는 분들은 이곳에서 새 지폐로 교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같은 지폐여도 새 지폐로 받으면 먼가 기분이 더 좋더라고요

물가상승 속 세뱃돈은 5만 원이 대세인데 3만 원권도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물가는 오르고 월급은 거의 그대로인 상태라 안 주고 안 받기 원칙을 세운 직장인 분들도 많다고 하는데요 조카들이 많은 경우 세뱃돈이 부담스러워 설연휴 고향에 가야 할지를 고민하시는 분들도 계시다는데 저 같아도 조카가 많이 있다면 고민이 될 것 같습니다 왕복 차비에 빈손으로 갈 수 없어니 선물도 사다 보면 그 부담이 배로 늘어날 텐데요 점점 삭막해지는 요즘시대 세뱃돈 문화는 그냥 1만 원~ 5만 원 정도로 형제들끼리 의논하셔서 정하시고 오랜만에 가족모임 덕담과 웃음이 오가는 설명절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